맨위로가기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여자 복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여자 복합 경기는 활강과 회전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의 크리스틀 크란츠가 금메달, 케테 그라제거가 은메달, 노르웨이의 라일라 쇼우 닐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활강 경기는 크로이츠요흐 산에서, 회전 경기는 구디베르크 산에서 치러졌으며, 두 경기의 점수를 평균하여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은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되었으며, 소냐 헤니(노르웨이), 세실리아 콜레지(프랑스), 비비안 오스본(영국)이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하고 25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점수를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지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남자 복합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남자 복합은 활강과 회전 점수 합산 방식으로 진행되어 프란츠 팔코너가 금메달, 구스타프 란다가 은메달, 에밀 알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여자 복합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알파인 스키 여자 복합
대회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
알파인 스키
개최지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독일
경기장크로이츠요흐(내리막), 구디베르크(회전)
날짜1936년 2월 7일 (내리막), 1936년 2월 8일 (회전)
참가 선수37명
참가 국가13개국
이전 대회해당 사항 없음
다음 대회1948
경기 정보 - 내리막
경기장크로이츠요흐
수직 강하약 820m
최고 지점약 1580m
최저 지점약 760m
결과
금메달크리스틀 크란츠
금메달 국가독일
은메달케테 그라제거
은메달 국가독일
동메달라일라 쇼우 닐센
동메달 국가노르웨이
우승 점수97.06점 (7:45.5)

2. 경기 방식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여자 복합 경기는 활강과 회전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활강 경기는 2월 7일 크로이츠요흐 산에서, 회전 경기는 2월 8일 구디베르크 산에서 각각 개최되었다.

활강 코스는 크로이쵸흐 정상 아래 해발 1580m 지점에서 시작하여 크로이체크반 케이블카 하단 정류장까지 이어졌으며, 수직 낙차 820m, 코스 길이 3,300m로 구성되었다. 경기 당일 오전 11시, 기온은 -5 ~ -4°C로 양호한 조건에서 경기가 시작되었다. 노르웨이의 라이라 쇼우 닐센이 5분 04초 4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평균 속도는 39.0 km/h, 평균 수직 하강 속도는 2.69 m/s였다. 모든 선수가 완주에 성공했으며, 이어서 남자 활강 경기가 정오에 시작되었다.

회전 경기는 구디베르크 산의 슬라롬 슬로프에서 진행되었으며, 수직 낙차 200m, 코스 길이 600m에 23개의 기문이 설치되었다. 참가 선수가 기문을 놓치면 페널티가 결승 시간에 추가되는 방식으로 채점이 이루어졌다. 경기 당일 오전 11시에 -8 ~ -4°C의 좋은 기상 조건 속에서 경기가 시작되었다.

활강과 회전 경기 결과를 바탕으로 평균 점수를 계산하여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경기 규칙 및 채점 방식은 국제스키연맹(FIS)의 규정을 따랐다.

3. 경기 결과

wikitext

활강 경기와 두 번의 회전 경기 후, 점수를 평균하여 우승자를 결정했다.

순위번호선수활강회전평균
1194.12100.0097.06
697.8892.6395.26
16100.0086.9693.48
43195.0189.7192.36
51394.6589.0491.85
6998.7078.7788.74
72691.6980.1085.90
81083.3184.6383.97
9193.0371.3482.19
102386.5871.1678.87



=== 활강 ===

1936년 2월 7일 크로이쵸흐 산에서 활강 경기가 진행되었다. 약 40,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이 코스는 약 3,300m의 길이었다.

노르웨이의 라일라 쇼우 닐센이 5분 04초 4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 독일의 리자 레슈가 5분 08초 4로 2위를, 케트 그라제거가 5분 11초 0으로 3위를 차지했다. 4위는 스위스의 에르나 스토이가 5분 20초 4를 기록하며 차지했고, 5위는 독일의 하디 페이페르가 5분 21초 6을 기록하며 차지했다.

총 37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3명의 선수는 기권했다.

순위번호선수국가기록차이점수
116라일라 쇼우 닐센 노르웨이5:04.4100.00
29리자 레슈 독일5:08.4+4.098.70
36케트 그라제거 독일5:11.0+6.697.88
431에르나 스토이 스위스5:20.4+16.095.01
513하디 페이페르 독일5:21.6+17.294.65
611크리스틀 크란츠 독일5:23.4+19.094.12
71에벨린 핀칭 영국5:27.2+22.893.03
826요한네 디바드 노르웨이5:32.0+27.691.69
923마르첼 뷜러 스위스5:51.6+47.286.58
104파울라 비에징어 이탈리아5:55.2+50.885.70
1140노라 스트룀스타드 노르웨이5:57.4+53.085.17
1210지넷 케슬러 영국6:05.4+1:01.083.31
135그라티아 스힘멜펜닉 판 데르 오예 네덜란드6:09.8+1:05.482.31
1427엘리자베스 우슬리 미국6:12.8+1:08.481.65
29그레테 니슬 오스트리아6:12.8+1:08.481.65
1632프리다 클라라 이탈리아6:16.8+1:12.480.79
1722힐데 발테르노바 체코슬로바키아6:17.8+1:13.480.57
188로이스 버틀러 캐나다6:20.0+1:15.680.11
1928버니 듀티 영국6:37.2+1:32.876.64
2021헤르타 로스미니 오스트리아6:40.8+1:36.475.95
213그레테 바이케르트 오스트리아6:47.0+1:42.674.79
2230루제나 베인아우로바 체코슬로바키아6:54.6+1:50.273.42
2312케테 레트너 오스트리아7:02.4+1:58.072.06
2436니베스 데이 로시 이탈리아7:03.2+1:58.871.93
257헬렌 보우턴-레이 미국7:17.4+2:13.069.59
2615에드위나 체미어 캐나다7:21.0+2:16.669.02
2724이살리네 크리벨리 이탈리아7:24.4+2:20.068.50
2820헬렌 블레인 영국7:26.4+2:22.068.19
2925메리온 밀러 캐나다7:30.4+2:26.067.58
3038클라리타 히스 미국7:39.2+2:34.866.29
3118카린 페커트-포르스만 에스토니아7:58.4+2:54.063.63
3233다이애나 고든-레녹스 캐나다8:03.8+2:59.462.92
3319메이 버드 미국8:32.4+3:28.059.41
3435트루다 뫼활도바 체코슬로바키아8:46.8+3:44.457.78
3539마르고트 몰레스 스페인10:52.4+5:50.046.66
3617머드자 매르틴손스 라트비아15:21.6+10:17.233.03
3734에르네스티나 바엔자 스페인18:51.4+13:47.026.90
2애니 뤼에그 스위스DNS
14마리안느 사파리 헝가리DNS
37엘리 페테르센 노르웨이DNS



=== 회전 ===

회전 경기는 1936년 2월 8일 크로이쵸흐 산에서 진행되었다. 23개의 통과 지점이 있었으며, 이를 통과하지 못할 때마다 페널티가 부과되었다. 37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8명의 선수가 기권하거나 실격되었다.

독일의 크리스틀 크란츠가 1, 2차 시기 합계 2분 22초 1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 독일의 케트 그라제거가 2위, 스위스의 에르나 스토이가 3위를 차지했다.

순위번호선수1차 시기2차 시기기록점수
1111:12.01:10.12:22.1100.00
261:16.01:17.42:33.4+0:11.392.63
3311:17.21:21.22:38.4+0:16.389.71
4131:20.81:18.82:39.6+0:17.589.04
5161:26.1[3]1:17.32:43.4+0:21.386.96
6101:25.71:22.22:47.9+0:25.884.63
7261:26.5[3]1:30.92:57.4+0:35.380.10
891:37.5[3]1:22.93:00.4+0:38.378.77
9321:38.11:35.13:13.2+0:51.173.55
10291:38.51:38.73:17.2+0:55.172.06
1111:40.41:38.83:19.2+0:57.171.34
12231:45.1[3]1:34.63:19.7+0:57.671.16
1351:26.51:56.9[3]3:23.4+1:01.369.86
14401:34.21:51.1[3]3:25.3+1:03.269.22
1531:41.9[3]1:52.93:34.8+1:12.766.15
16121:43.41:52.93:36.3+1:14.265.70
17211:49.2[3]1:48.03:37.2+1:15.165.42
1871:46.71:50.83:37.5+1:15.465.33
1981:54.4[4]1:45.93:40.3+1:18.264.50
20201:59.9[3]1:51.23:51.1+1:29.061.49
21182:00.41:52.63:53.0+1:30.960.99
22361:51.82:04.3[3]3:56.1+1:34.060.19
23302:03.31:55.53:58.8+1:36.759.51
2441:54.42:07.8[4]4:02.2+1:40.158.67
25272:00.82:09.34:10.1+1:48.056.82
26282:06.22:09.3[4]4:15.5+1:53.455.62
27382:25.42:00.34:25.7+2:03.653.48
28332:26.22:04.84:31.0+2:08.952.44
29252:24.72:28.74:53.4+2:31.348.43
242:04.0DNF
152:30.1DNF
192:38.9DNF
222:45.1DNF
392:50.1DNF
352:55.5DNF
173:08.3[4]DNF
34DNF



=== 최종 결과 ===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여자 복합 경기는 활강과 회전 경기 점수를 평균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크리스틀 크란츠(독일)가 평균 97.06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케트 그라제거(독일)가 평균 95.26점으로 은메달을, 라일라 쇼우 닐센(노르웨이)이 평균 93.48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font-size:90%"

! 순위 !! 번호 !! 선수 !! 활강 !! 회전 !! 평균

|-

| || 11 ||align=left| || 94.12 || 100.00 || '''97.06'''

|-

| || 6 ||align=left| || 97.88 || 92.63 || '''95.26'''

|-

| || 16 ||align=left| || 100.00 || 86.96 || '''93.48'''

|-

| 4 || 31 ||align=left| || 95.01 || 89.71 || '''92.36'''

|-

| 5 || 13 ||align=left| || 94.65 || 89.04 || '''91.85'''

|-

| 6 || 9 ||align=left| || 98.70 || 78.77 || '''88.74'''

|-

| 7 || 26 ||align=left| || 91.69 || 80.10 || '''85.90'''

|-

| 8 || 10 ||align=left| || 83.31 || 84.63 || '''83.97'''

|-

| 9 || 1 ||align=left| || 93.03 || 71.34 || '''82.19'''

|-

| 10 || 23 ||align=left| || 86.58 || 71.16 || '''78.87'''

|-

| 11 || 40 ||align=left| || 85.17 || 69.22 || '''77.20'''

|-

| 12 || 32 ||align=left| || 80.79 || 73.55 || '''77.17'''

|-

| 13 || 29 ||align=left| || 81.65 || 72.06 || '''76.86'''

|-

| 14 || 5 ||align=left| || 82.31 || 69.86 || '''76.09'''

|-

| 15 || 8 ||align=left| || 80.11 || 64.50 || '''72.31'''

|-

| 16 || 4 ||align=left| || 85.70 || 58.67 || '''72.19'''

|-

| 17 || 21 ||align=left| || 75.95 || 65.42 || '''70.69'''

|-

| 18 || 3 ||align=left| || 74.79 || 66.15 || '''70.47'''

|-

| 19 || 27 ||align=left| || 81.65 || 56.82 || '''69.24'''

|-

| 20 || 12 ||align=left| || 72.06 || 65.70 || '''68.88'''

|-

| 21 || 7 ||align=left| || 69.59 || 65.33 || '''67.46'''

|-

| 22 || 30 ||align=left| || 73.42 || 59.51 || '''66.47'''

|-

| 23 || 28 ||align=left| || 76.64 || 55.62 || '''66.13'''

|-

| 24 || 36 ||align=left| || 71.93 || 60.19 || '''66.06'''

|-

| 25 || 20 ||align=left| || 68.19 || 61.49 || '''64.84'''

|-

3. 1. 활강

1936년 2월 7일 크로이쵸흐 산에서 활강 경기가 진행되었다. 약 40,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이 코스는 약 3,300m의 길이었다.

노르웨이의 라일라 쇼우 닐센이 5분 04초 4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 독일의 리자 레슈가 5분 08초 4로 2위를, 케트 그라제거가 5분 11초 0으로 3위를 차지했다. 4위는 스위스의 에르나 스토이가 5분 20초 4를 기록하며 차지했고, 5위는 독일의 하디 페이페르가 5분 21초 6을 기록하며 차지했다.

총 37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3명의 선수는 기권했다.

순위번호선수국가기록차이점수
116라일라 쇼우 닐센 노르웨이5:04.4100.00
29리자 레슈 독일5:08.4+4.098.70
36케트 그라제거 독일5:11.0+6.697.88
431에르나 스토이 스위스5:20.4+16.095.01
513하디 페이페르 독일5:21.6+17.294.65
611크리스틀 크란츠 독일5:23.4+19.094.12
71에벨린 핀칭 영국5:27.2+22.893.03
826요한네 디바드 노르웨이5:32.0+27.691.69
923마르첼 뷜러 스위스5:51.6+47.286.58
104파울라 비에징어 이탈리아5:55.2+50.885.70
1140노라 스트룀스타드 노르웨이5:57.4+53.085.17
1210지넷 케슬러 영국6:05.4+1:01.083.31
135그라티아 스힘멜펜닉 판 데르 오예 네덜란드6:09.8+1:05.482.31
1427엘리자베스 우슬리 미국6:12.8+1:08.481.65
29그레테 니슬 오스트리아6:12.8+1:08.481.65
1632프리다 클라라 이탈리아6:16.8+1:12.480.79
1722힐데 발테르노바 체코슬로바키아6:17.8+1:13.480.57
188로이스 버틀러 캐나다6:20.0+1:15.680.11
1928버니 듀티 영국6:37.2+1:32.876.64
2021헤르타 로스미니 오스트리아6:40.8+1:36.475.95
213그레테 바이케르트 오스트리아6:47.0+1:42.674.79
2230루제나 베인아우로바 체코슬로바키아6:54.6+1:50.273.42
2312케테 레트너 오스트리아7:02.4+1:58.072.06
2436니베스 데이 로시 이탈리아7:03.2+1:58.871.93
257헬렌 보우턴-레이 미국7:17.4+2:13.069.59
2615에드위나 체미어 캐나다7:21.0+2:16.669.02
2724이살리네 크리벨리 이탈리아7:24.4+2:20.068.50
2820헬렌 블레인 영국7:26.4+2:22.068.19
2925메리온 밀러 캐나다7:30.4+2:26.067.58
3038클라리타 히스 미국7:39.2+2:34.866.29
3118카린 페커트-포르스만 에스토니아7:58.4+2:54.063.63
3233다이애나 고든-레녹스 캐나다8:03.8+2:59.462.92
3319메이 버드 미국8:32.4+3:28.059.41
3435트루다 뫼활도바 체코슬로바키아8:46.8+3:44.457.78
3539마르고트 몰레스 스페인10:52.4+5:50.046.66
3617머드자 매르틴손스 라트비아15:21.6+10:17.233.03
3734에르네스티나 바엔자 스페인18:51.4+13:47.026.90
2애니 뤼에그 스위스DNS
14마리안느 사파리 헝가리DNS
37엘리 페테르센 노르웨이DNS


3. 2. 회전

회전 경기는 1936년 2월 8일 크로이쵸흐 산에서 진행되었다. 23개의 통과 지점이 있었으며, 이를 통과하지 못할 때마다 페널티가 부과되었다. 37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8명의 선수가 기권하거나 실격되었다.

독일의 크리스틀 크란츠가 1, 2차 시기 합계 2분 22초 1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 독일의 케트 그라제거가 2위, 스위스의 에르나 스토이가 3위를 차지했다.

순위번호선수1차 시기2차 시기기록점수
1111:12.01:10.12:22.1100.00
261:16.01:17.42:33.4+0:11.392.63
3311:17.21:21.22:38.4+0:16.389.71
4131:20.81:18.82:39.6+0:17.589.04
5161:26.1[3]1:17.32:43.4+0:21.386.96
6101:25.71:22.22:47.9+0:25.884.63
7261:26.5[3]1:30.92:57.4+0:35.380.10
891:37.5[3]1:22.93:00.4+0:38.378.77
9321:38.11:35.13:13.2+0:51.173.55
10291:38.51:38.73:17.2+0:55.172.06
1111:40.41:38.83:19.2+0:57.171.34
12231:45.1[3]1:34.63:19.7+0:57.671.16
1351:26.51:56.9[3]3:23.4+1:01.369.86
14401:34.21:51.1[3]3:25.3+1:03.269.22
1531:41.9[3]1:52.93:34.8+1:12.766.15
16121:43.41:52.93:36.3+1:14.265.70
17211:49.2[3]1:48.03:37.2+1:15.165.42
1871:46.71:50.83:37.5+1:15.465.33
1981:54.4[4]1:45.93:40.3+1:18.264.50
20201:59.9[3]1:51.23:51.1+1:29.061.49
21182:00.41:52.63:53.0+1:30.960.99
22361:51.82:04.3[3]3:56.1+1:34.060.19
23302:03.31:55.53:58.8+1:36.759.51
2441:54.42:07.8[4]4:02.2+1:40.158.67
25272:00.82:09.34:10.1+1:48.056.82
26282:06.22:09.3[4]4:15.5+1:53.455.62
27382:25.42:00.34:25.7+2:03.653.48
28332:26.22:04.84:31.0+2:08.952.44
29252:24.72:28.74:53.4+2:31.348.43
242:04.0DNF
152:30.1DNF
192:38.9DNF
222:45.1DNF
392:50.1DNF
352:55.5DNF
173:08.3[4]DNF
34DNF


3. 3. 최종 결과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여자 복합 경기는 활강과 회전 경기 점수를 평균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크리스틀 크란츠(독일)가 평균 97.06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케트 그라제거(독일)가 평균 95.26점으로 은메달을, 라일라 쇼우 닐센(노르웨이)이 평균 93.48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순위번호선수활강회전평균
1194.12100.0097.06
697.8892.6395.26
16100.0086.9693.48
43195.0189.7192.36
51394.6589.0491.85
6998.7078.7788.74
72691.6980.1085.90
81083.3184.6383.97
9193.0371.3482.19
102386.5871.1678.87
114085.1769.2277.20
123280.7973.5577.17
132981.6572.0676.86
14582.3169.8676.09
15880.1164.5072.31
16485.7058.6772.19
172175.9565.4270.69
18374.7966.1570.47
192781.6556.8269.24
201272.0665.7068.88
21769.5965.3367.46
223073.4259.5166.47
232876.6455.6266.13
243671.9360.1966.06
252068.1961.4964.84
261863.6360.9962.31
273866.2953.4859.89
282567.5848.4358.01
293362.9252.4457.68



4. 참가국 및 선수

5. 메달 집계

6. 의의 및 영향

7.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Alpine Skiing at the 1936 Garmisch-Partenkirchen Winter Games: Women's Combined https://web.archive.[...] 2018-02-22
[2] 문서
[3] 문서
[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